교육 자료

(세균) Dermatophilus congolensis
  • 작성자
    최고관리자
  • 조회
    47
  • 작성일
    2020-01-31

(세균) Dermatophilus congolensis

출처:http://phil.cdc.gov/phil/details.asp ID#2986, CDC

• 위 험 군 :제 2위험군
• 국내범주 :-
• 특 성 :Dermatophilaceae과, 실모양의 균사와 운동포자 두 가지 형태를 띔.

 

1. 병원성 및 감염증상

  • 잠복기 : -
  • 피부 방선균증(dermatophilosis)를 유발함.
  • 사람감염은 드물게 발생하며, 감염될 경우 점막 및 손톱 감염이 발생하나 2010년 사람 식도에 감염된 사례가 보고된 바 있음.

 

2. 치료 및 백신

  • 치료 : in vitro에서 tetracycline, penicillin, macrolides에 감수성 있음.
  • 백신 : -

 

3. 실험실 생물안전정보

  • 감염위해요소 
  • 감염 경로
    - 일반 감염경로:감염된 동물 등 감염성물질에 직접접촉, 외부기생충(ectoparasite)을 통하여 감염 가능함.
    - 실험자 감염경로:감염성 에어로졸 흡입, 손상된 피부, 눈, 코, 입 등의 점막 노출을 통한 감염 및 날카로운 도구 사용 중 자상사고에 의한 감염 가능함. 
  • 감염량 : -
  • 숙주:사람, 소, 말, 양, 염소, 개, 고양이, 야생 포유동물, 파충류
  • 실험실 획득감염:-
  • 생물안전밀폐등급
  • BL2 권장:임상검체, 환경시료, 감염성물질, 배양체, 독소를 취급하는 실험
  • ABL2 권장: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
  • 개인보호장비 :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, 감염성물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 착용,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및 호흡보호장비 착용,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(BSC)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,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.
  • 소독 및 불활성화 : 70% ethanol, 1% sodium hypochlorite, 121℃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등 
  • 숙주 외 환경저항성:살균하지 않은(unsterile) 토양에서 2주 이상 생존하지 못함.
  • 폐기물 처리: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